반응형
고양이를 키우다 보면 '이게 정상일까?', '이 정도 증상으로 병원에 가야 할까?' 고민될 때가 많아요. 하지만 어떤 질병은 초기에 발견해야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빠르게 이상 신호를 캐치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고양이가 보내는 질병 신호와 집에서 할 수 있는 1차 조치를 알려드릴게요.
1. 고양이가 아플 때 보이는 대표적인 신호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아픈 티를 내지 않아요. 야생에서는 몸이 약한 동물이 공격받기 쉽기 때문에,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도 본능적으로 아픔을 숨기려 해요. 하지만 세심하게 관찰하면 미묘한 변화들을 발견할 수 있어요.
1) 식사량과 물 섭취량의 변화
- 갑자기 사료를 잘 안 먹거나, 평소보다 많이 먹으면 건강 이상을 의심해 봐야 해요.
- 물을 너무 많이 마시거나 거의 마시지 않는 것도 신장이나 당뇨병 관련 증상일 수 있어요.
2) 배변 습관 변화
- 설사나 변비가 지속되면 장 건강 문제를 의심해야 해요.
- 소변을 보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자주 화장실을 가는데 배변을 못 한다면 방광염일 가능성이 높아요.
3) 과도한 그루밍 또는 몸을 덜 핥음
- 어떤 부위를 집중적으로 핥거나 뜯어내듯 털을 뽑는다면 피부병이나 알레르기 때문일 수 있어요.
- 반대로 평소처럼 털 관리를 하지 않는다면 통증이나 관절염이 있을 수도 있어요.
4) 행동 변화
- 평소 활발한 고양이가 갑자기 숨거나 무기력해 보인다면 몸이 좋지 않은 신호일 수 있어요.
- 반대로 갑자기 공격성이 심해진다면 통증이 있는 부위를 건드릴 때 예민해진 것일 수도 있어요.
2. 고양이가 아플 때 집에서 할 수 있는 1차 조치
고양이가 아파 보일 때 당황하지 말고, 보호자가 먼저 할 수 있는 간단한 조치들을 해보세요.
1) 고양이의 체온 확인
- 고양이의 정상 체온은 38~39도예요.
- 고양이 귀나 발바닥이 너무 뜨겁다면 열이 있는 상태일 수 있어요.
- 반대로 귀 끝이 차갑다면 체온이 떨어진 상태일 수도 있으니 담요로 감싸 주세요.
2) 수분 공급
- 탈수 증상이 있으면 피부를 잡아당겼을 때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속도가 느려져요.
- 물을 자발적으로 마시지 않으면, 주사기(바늘 없는 것)로 살짝씩 입에 물을 넣어 주세요.
3) 식욕이 없을 때
- 습식 사료나 캔을 따뜻하게 데우면 냄새가 강해져서 식욕을 자극할 수 있어요.
- 잘 먹지 않으면 손가락에 사료를 조금 묻혀 입 가까이 가져가 보세요.
4) 구토를 했을 때
- 가끔 하는 단순한 구토(헤어볼 토하는 경우)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어요.
- 하지만 하루에 여러 번 구토하거나, 피나 거품이 섞여 있다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해요.
3. 이런 증상이라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해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절대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 가야 해요.
- 하루 이상 아무것도 먹지 않음 – 고양이는 24시간만 굶어도 지방간이 올 수 있어요.
- 소변을 보지 않음 – 방광염이나 요로 폐쇄일 가능성이 높고, 빠르게 치료해야 해요.
- 호흡이 불규칙함 – 헥헥거리거나, 숨을 쉴 때 소리가 난다면 심각한 문제일 수 있어요.
- 지속적인 설사 또는 피가 섞인 변 – 장 질환이나 기생충 감염일 수 있어요.
- 몸을 기울이거나, 비틀거리면서 걷기 – 신경계 이상이 원인일 수 있으니 즉시 병원에 가야 해요.
4. 고양이 건강을 지키기 위한 예방 습관
미리 예방하면 고양이가 아플 확률을 줄일 수 있어요. 몇 가지 습관만 잘 유지해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답니다.
1) 정기 건강검진
- 1년에 한 번 기본 건강검진을 받으면 초기에 질병을 발견할 수 있어요.
- 노령묘(7세 이상)는 6개월마다 검진을 받는 것이 좋아요.
2) 예방접종 및 구충제
- 필수 예방접종(범백, 허피스, 칼리시바이러스)은 정기적으로 맞혀 주세요.
- 내부·외부 기생충 예방을 위해 구충제도 잊지 말고 챙기세요.
3) 깨끗한 환경 유지
- 화장실을 자주 청소하고, 사료와 물그릇도 깨끗하게 관리하세요.
-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 주면 털을 삼키는 양이 줄어 헤어볼 예방이 돼요.
결론
고양이가 아플 때는 겉으로 큰 티를 내지 않기 때문에 보호자가 작은 신호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꼼꼼히 살펴보세요. 조기 발견과 예방이 고양이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