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술 중 마취가 심장병 고양이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한 수술법

by narina 2025. 4. 1.
반응형

고양이 심장병은 마취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대심근증(HCM), 울혈성 심부전(CHF), 부정맥 등의 심장 질환을 가진 고양이는 마취로 인해 심박수 변화, 혈압 저하, 혈전 생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심장병을 가진 고양이는 수술을 받을 수 없을까요? 다행히도, 사전 검사와 맞춤형 마취 계획을 통해 안전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심장병 고양이에게 마취가 미치는 영향안전한 수술을 위한 준비 및 주의사항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술 중 마취가 심장병 고양이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한 수술법

1. 마취가 심장병 고양이에 미치는 영향

마취는 고양이의 신경계를 억제하여 수술 중 통증을 차단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의 경우 마취 과정에서 혈압과 심박수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마취 중 심장병 고양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 저혈압 (Hypotension) - 마취제가 혈관을 확장시키면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질 위험이 있음
  • 부정맥 (Arrhythmia) - 마취제가 심장의 전기 신호에 영향을 미쳐 불규칙한 심박수를 유발할 수 있음
  • 심부전 악화 - 기존의 울혈성 심부전(CHF)이 있는 경우, 마취 중 체액 균형이 무너져 폐부종 위험 증가
  • 혈전 생성 위험 증가 - 비대심근증(HCM)을 가진 고양이는 마취 중 혈액 순환이 느려지면서 혈전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음
  • 호흡 억제 - 마취제가 호흡 중추를 억제하여 저산소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2. 수술 전 필수 검사: 마취 위험 평가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는 수술 전 정밀 검사를 통해 마취 위험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할 검사들입니다.

🔹 수술 전 필수 심장 검사

  • 청진 검사 - 심장 잡음(심장 판막 이상 여부) 및 부정맥 확인
  •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 비대심근증(HCM), 심부전 여부 확인
  • 심전도 검사 (ECG) - 심장의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부정맥 유무 확인
  • 혈압 검사 - 저혈압 또는 고혈압 여부 파악
  • NT-proBNP 혈액 검사 - 심장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는 바이오마커 검사
  • 흉부 X-ray - 폐부종 여부 및 심장 크기 변화 확인

이러한 검사를 통해 수의사는 고양이의 마취 위험도를 평가하고, 가장 안전한 마취 방법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3. 심장병 고양이를 위한 안전한 마취 계획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는 맞춤형 마취 전략이 필요합니다. 마취 전, 중, 후 모든 단계에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마취 전 준비

  • 수술 전 12시간 금식 - 구토 및 흡인성 폐렴 예방
  • 심장 보호제 사전 투여 - 베타 차단제, 이뇨제 등 기존 심장 약물 유지
  • 수액 조절 - 저혈압 방지를 위해 마취 전 정맥 수액 공급

🔹 마취 중 주의사항

  • 저혈압 예방 - 저용량 마취제 사용 및 정맥 수액 속도 조절
  • 산소 공급 - 산소마스크 또는 기관 삽관을 통해 충분한 산소 공급
  • 부정맥 모니터링 - 심전도(ECG) 감시 시스템 사용
  • 체온 유지 - 마취 중 저체온 예방을 위해 보온 패드 활용

🔹 마취 후 관리

  • 호흡 및 심장 모니터링 - 회복실에서 최소 2~3시간 집중 관찰
  • 수액 공급 조절 - 심부전 위험이 있는 경우 과도한 수액 공급 금지
  • 심장 보호제 지속 투여 - 수의사 지시에 따라 기존 심장 약물 복용 지속
  • 스트레스 최소화 - 조용한 환경에서 회복 유도

4. 마취 중 사용 가능한 안전한 약물과 주의해야 할 약물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에게 적합한 마취제와 피해야 할 약물을 정리했습니다.

🔹 비교적 안전한 마취제

  • 프로포폴 (Propofol) - 신속한 마취 유도 및 빠른 회복
  • 이소플루란 (Isoflurane) - 비교적 심장 부담이 적은 흡입 마취제
  • 에토미데이트 (Etomidate) - 심혈관 안정성이 높은 정맥 마취제

🔹 심장병 고양이에게 위험한 약물

  • 케타민 (Ketamine) - 심박수 증가 및 혈압 상승 유발 가능
  • 알파 2 작용제 (예: 메데토미딘) - 심박수 저하 및 혈압 급강하 가능
  • 바르비투레이트계 (Thiopental) - 심장 억제 효과가 강하여 심부전 위험 증가

✅ 결론: 심장병 고양이도 안전한 마취가 가능하다

✔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는 마취 중 저혈압, 부정맥, 혈전 생성 위험이 높음

✔ 수술 전 심장 초음파, 심전도 검사, 혈압 검사 등을 통해 마취 위험 평가 필수

✔ 프로포폴, 이소플루란 등 안전한 마취제 선택이 중요

✔ 마취 중 심전도 모니터링, 산소 공급, 혈압 조절 등 세심한 관리 필요

✔ 마취 후 최소 2~3시간 집중 관찰하여 합병증 예방

심장병이 있는 고양이도 철저한 사전 검사와 맞춤형 마취 계획을 통해 안전하게 수술받을 수 있습니다. 반려묘의 건강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수의사와 충분히 상담하세요!

반응형